Fusidate는 영어 발음과 아주 유사한 연고가 국내에 시판이 되고 있으며 그 이름은 국내에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연고이다. 요즘 마음이 혼란해서 공부도 안되고 해서 간단히 찾아보기로 하였다. ㅡㅡ
Fusidate는 Fusidium coccineum 이라는 곰팡이에서 추출한 물질이다. 구조식을 보면 Steriod 효과도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없다고 한다. 항생제로서는 주로 Bacteriostatic effect가 있으나 고농도에서는 Bactericidal effect도 있다고 한다. 항생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모든 것이 다 밝혀진 상태는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단백질 합성과정중 tRNA가 ribosomal site에서 peptidyl site로 이동하는 과정에 GTP의 가수분해와 factor G의 elongation이 있는 과정이 있으며, Fusidate는 이 부분을 차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S. aureus와 S. epidermidis와 같은 균에 효과적이며 Methicillin 내성균주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사실 생각해보면 Methicillin과 작용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이 사실을 굳이 책에서 강조했는지 까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다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Aerobes와 Anaerobes 모두에게 효과가 있다고 한다. 흔히 Topical agent로 사용하고 있지만 PO, IV 제제도 있을 정도로 다양한 사용방법을 가지고 있는 항생제이다. 배설 과정은 간에서 대사되는 것과 Conjugation을 통한 Bile을 통한 것 그리고 Cytochrome P450에 의한 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기능 장애가 있는 사람에 있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음번엔 다른 흔하게 쓰는 연고인 Teramycin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고 이 내용은 Mandell, Bennett, & Dol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6th ed.를 참고했으며 변역상의 문제로 인해서 정보가 부적절할 수도 있습니다. ㅡ,.ㅡ

http://moldb.nihs.go.jp/jp/scripts/name_exact_eng.asp?name_e=Sodium%20Fusidate
Fusidate는 Fusidium coccineum 이라는 곰팡이에서 추출한 물질이다. 구조식을 보면 Steriod 효과도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없다고 한다. 항생제로서는 주로 Bacteriostatic effect가 있으나 고농도에서는 Bactericidal effect도 있다고 한다. 항생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모든 것이 다 밝혀진 상태는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단백질 합성과정중 tRNA가 ribosomal site에서 peptidyl site로 이동하는 과정에 GTP의 가수분해와 factor G의 elongation이 있는 과정이 있으며, Fusidate는 이 부분을 차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S. aureus와 S. epidermidis와 같은 균에 효과적이며 Methicillin 내성균주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사실 생각해보면 Methicillin과 작용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이 사실을 굳이 책에서 강조했는지 까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다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Aerobes와 Anaerobes 모두에게 효과가 있다고 한다. 흔히 Topical agent로 사용하고 있지만 PO, IV 제제도 있을 정도로 다양한 사용방법을 가지고 있는 항생제이다. 배설 과정은 간에서 대사되는 것과 Conjugation을 통한 Bile을 통한 것 그리고 Cytochrome P450에 의한 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기능 장애가 있는 사람에 있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음번엔 다른 흔하게 쓰는 연고인 Teramycin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고 이 내용은 Mandell, Bennett, & Dol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6th ed.를 참고했으며 변역상의 문제로 인해서 정보가 부적절할 수도 있습니다. ㅡ,.ㅡ
'공부해 봅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pitel (0) | 2007.11.18 |
---|---|
Harlequin's Darker Side (0) | 2007.11.15 |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0) | 2007.11.09 |
Microtia (3) | 2007.11.09 |
Cocaine-Induced Palatal Perforation (0) | 200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