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k: Pediatric Cardiology for Practitioners, 4th ed.Figure 14-20
청색증을 보이는 선천성 심기형을 가진 아기들 중에서 Pulmonary artery로 가는 혈류를 늘려주는 방법의 하나로 시행하는 Blalock-Taussig shunt 가 있다. Subclavian artery나 Carotid artery의 Branch를 Pulmonary artery에 연결을 시행하는 Shunt를 말한다. 이 Shunt를 처음 들었던 것은 본과 2학년 흉부외과 수업 때였다. Pulmonary artery로 가는 혈류가 부족할 때 혈류를 증가시켜 주는 방법을 고안한 이 사람들을 처음에는 대단히 똑똑한 사람들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시간이 점점 지나갈 수록 그 사람들이 천재라는 생각만 든 것이 아니었다. 그 사람들은 청색증을 가진 아기들의 증상을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이 고민을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더 이상 의사로서 해줄 것이 없다는 그런 상황을 견딜 수가 없어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고안해낸 방법일 것이다. 지금은 예전과는 다르게 인조 혈관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기본 원리는 Blalock-Taussig shunt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수술의 술기는 환자의 증상을 좀 더 좋아지게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달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