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 봅시다/Pathology

NSCLC의 조직학적 유형 분류

Anonymous Pathologist 2010. 11. 28. 10:36
  여전히 Lung cancer 의 분류에서 SCLC 와 NSCLC 의 분류는 중요하지만, 요즘에는 NSCLC 의 세분류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수술적 치료 보다는 항암화학 요법을 우선적인 치료대상으로 고려해야하는 경우에 이러한 요구가 있어서, 그럴 경우에는 여러가지 면역화학검사 등을 통하여 감별을 해주려고 하고 있다. 이럴 때의 문제는 어떤 면역화학검사를 시행할 것인가인데, 개인의 선호도라던가 조직의 크기, 그리고 지불해야할 비용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최소한의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최근의 논문을 참고하여 보았다.
  딱히, 새로운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최신 지견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적어도 과 내부 지침에 이러한 것을 시행하여야 한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이 논문에서는 CK5/6, CK7. p63, TTF1, Napsin의 면역화학검사와 Mucicarmine 염색을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Napsin 면역화학검사는 병원에서는 시행하고 있지 않으니깐 과감히 생략하고, 나머지 4개의 면역화학검사와 Mucicarcmine 염색을 해보면 될 것 같다. 

Adenocarcinoma를 시사하는 면역화학검사: CK7, TTF1, Mucicarcime 에 양성
Squamous cell carcinoma 를 시사하는 면역화학검사: CK5/6, p63

검사를 해도 뭐라 type 을 지정해 줄 수 없을 때에는... NCSLC, NOS 로 분류.

Reference: Terry et al. Optimal immunohistochemical markers for distinguishing lung adenocarcinomas from squamous cell carcinomas in small tumor samples. Am J Surg Pathol 2010; 34(12): 1805-1811. (PMID: 21107086)

'공부해 봅시다 > Pat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 sequencing  (0) 2011.01.06
IgH semi-nested PCR  (0) 2011.01.06
ISHLT standardized cardiac biopsy grading: acute cellular rejection  (0) 2010.11.27
Sjogren syndrome  (0) 2010.11.24
Detection of c4d deposition in cardiac allografts  (0) 201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