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 봅시다/Pathology

EGFR resistance mechanism

Anonymous Pathologist 2012. 10. 8. 00:43



몇 주 전쯤에 폐암에 관련한 기사가 올라온 적이 있는데 그 중에 보면 EGFR TKI 저항성 기전으로 T790M, MET 이라고 단순히 기술되어 있었다. 놀랍게도 이 표현은 당시에 나왔던 모든 기사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어졌다. 아마도, 연구 그룹에서 그렇게만 표현한 것을 별다른 확인없이 기자들이 받아쓴게 아닐까 싶은데, 1차적인 책임은 그 사소한 실수를 수정하지 않은 연구 그룹에 있지 않을까 싶다.


기본적으로 EGFR 돌연변이가 있는 폐암에서 EGFR TKI 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성 기전으로는 크게 2개 (이 동네 용어로 하면 '왕족'이 되겠다)가 있고, 곁다리로 하나 더 외우고 있어야 한다.

왕족은 EGFR exon 20 에서 생기는 T790M 돌연변이로 790 codon 에 있는 Threonine 이 Methionine 으로 바뀌는 것이다. Secondary resistance 로 알려져 있는데, 가끔씩 보면 EGFR TKI 를 사용하지 않은 첫 진단에서도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 다음으로는 MET 유전자의 amplification 이 있다. 일상적으로 검사하는 항목이 아니어서, 우선은 있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될 듯. FISH 로 확인하는 방법도 있고 IHC 로 확인하는 방법도 있는데 고정(fixation) 상태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내 부모님이 이런 검사를 해야할 상황이라면 새로 생검을 하도록 권유할 것이다.


세번째는 말로만 들어봤고, 수련 받는 기간 동안 아마 1건 정도 있었던 것 같은데, 조직학적으로 변화를 일으켜 adenocarcinoma 가 small cell carcinoma 로 바뀌는 것이다. EGFR 돌연변이 검사를 해봤을 때 이전 adenocarcinoma 에서 보였던 것과 같은 돌연변이가 보였던 것 같다.


참고문헌) Oxnard GR. Strategies for overcoming acquired resistance to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targeted therapies in lung cancer.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2012 Oct;136(10):1205-9. PubMed PMID: 230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