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 2 Mechanisms of biological acquired resistance
엇.. 하는 순간에 그 동안 누적된 새로운 내용들이 나온다.
윗쪽은 EGFR TKI 를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저항성 획득 기전에 대한 것이다. 예전에 얼핏 듣기로는 T790M 과 SCLC 로의 변화가 있었다.
방심하고 있으면 금방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기 때문에 항상 열린 자세로.. 새로운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공부해 봅시다 > Pat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관련 논문 (0) | 2014.09.12 |
---|---|
Update on the new classification of hepatic adenomas (0) | 2014.08.05 |
EANO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aplastic gliomas and glioblastoma (0) | 2014.07.29 |
Comprehensiv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gastric adenocarcinoma (0) | 2014.07.26 |
생존 분석 (0) | 2014.07.21 |